국내 완성차업체의 가동중단 사태를 부른 유성기업의 노사갈등은 자동차업계 주간연속 2교대제 논의와 연관돼 있다. 장시간 노동의 대표적 근무형태인 '밤샘노동'을 폐지하자는 내용의 주간연속 2교대제가 이러한 파장을 몰고 온 이유는 무엇일까.

23일 자동차업계 노사에 따르면 주간연속 2교대제는 올해 자동차업계 임금·단체협상의 주요 의제 가운데 하나다. 현대·기아·한국GM 노사는 지난해 교섭에서 올해까지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마련하거나, 관련 협의체를 구성해 논의에 나서기로 합의한 바 있다. 현대차의 경우 노사와 전문가가 참여하는 근무형태변경추진위원회를 가동 중이다. 교대제 개편과 동시에 기존처럼 생산물량과 임금을 보전하자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자동차 생산속도를 높이거나, 임금을 높여야 하기 때문에 노사의 이해가 첨예하게 부딪히고 있다.

완성차에 이어 부품사 노사도 노동자 건강권 보호 차원에서 교대제 개편 논의를 본격화하고 있다. 금속노조에 따르면 두원정공 노사가 이미 주간연속 2교대제를 시행 중이고, 로템·모비스·오리엔스·일진베어링·한라공조·엠시트·세정 등 부품사 노사가 단체협약에 교대제 개편 관련 조항을 명시한 상태다.

하지만 교대제 개편이 생산과 물류시스템의 대대적인 변화를 동반한다는 점을 감안해 완성차업체의 제도시행과 연동해 교대제 개편 시점을 재조정하기로 결정한 곳이 적지 않다. 영세한 부품업체의 경우 주간연속 2교대제 도입은 노사 모두에게 부담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교대제 개편이 완성차업계의 근무시간과 생산물량 감소를 동반할 경우 중소 부품사 노동자의 임금감소와 고용불안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생산량 유지를 전제로 총액임금을 보전하겠다는 완성차업계 노조들의 방침도 부품사에는 적잖은 부담이 된다. 완성차업체가 내부 비용을 외부로 전가할 경우 원청의 ‘단가 후려치기’(CR) 관행이 더욱 심화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금속노조 유성기업지회가 주간연속 2교대제를 주요하게 들고 나올 수 있었던 것은 유성기업의 특성 때문이다. 안재원 금속노조 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자동차 엔진에 쓰이는 핵심부품을 거의 독점적으로 공급하는 유성기업의 경우 생산물량이나 임금 압박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편”이라며 “교대제 개편 여지가 큰 사업장임에도 불구하고 회사측이 원청업체의 눈치를 보느라 제도 시행을 미루고 있다”고 분석했다.
 
유성기업이 교대제 개편에 합의할 경우 이는 제조업 교대제 개편 논의의 전기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종탁 산업노동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인근 지역 부품업체는 물론 현재 교대제 개편 논의를 벌이고 있는 완성차업체 노사에게도 압박 요인이 될 수밖에 없다”며 “자동차업계와 보수언론이 사실상 유성기업지회 죽이기에 나선 것도 이런 파급력을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